결절성 경화증[ Tuberous sclerosis ] 정리

2023. 2. 26. 14:22카테고리 없음

728x90
300x250

 

안녕하세요! 건강알리미 입니다~

오늘은 ' 결절성 경화증[ Tuberous sclerosis ] '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하겠습니다!

 


결절성 경화증

[ Tuberous sclerosis ]

정의

대뇌에 결절성 병변이 많이 발생하는 상염색체 우성유전성 질환이다. 그러나 환자의 2/3는 돌연변이의 예이다. 간질이나 정신발달지체 등의 신경증상을 나타내며, 측뇌실벽에 생긴 종양은 무교통물뇌증(noncommunicating hydrocephalus)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부병변 중에서는 얼굴의 혈관섬유종이 특징이다.

망막과오종(약 50%), 콩팥혈관근 지방종(약 40%), 심장가로무늬근종(약 50%)을 합병하는 경우가 많다.

원인

결절성 경화증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지만, 70~80% 정도가 자연발생적으로 발병하며,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결절성 경화증'이라는 명칭은 석회화되거나 경화되는 뇌의 결절에 의해 명명되었습니다.

첫 번째 원인 유전자(TSC1)는 염색체 9번 장완(9q34)에 위치합니다. 두 번째 원인 유전자(TSC2)는 염색체 16번 단완(16p13)에 위치합니다. 환자의 약 20% 정도는 원인 유전자를 밝히지 못하였습니다.

증상

TSC1 유전자(9번 염색체에 존재) 또는 TSC2 유전자(16번 염색체에 존재)에 변이가 발생하여, 여러 장기에 세포의 분화, 크기 조절 및 증식에 이상을 일으킴으로써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얼굴혈관섬유종, 간질, 정신발달지체가 이 질환의 3대 특징이지만, 이들이 모두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간질은 겉질결절이 원인으로 발생한다. 이 질환에 걸린 유아는 West 증후군을 합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밖에 전체 연령에서 부분 간질이 발생하기 쉽다.

① 피부증상

• 얼굴 : 좌우 대칭의 혈관섬유종

• 사지 및 체간 : 나뭇잎 모양의 흰색 반점, 가죽 같은 피부

• 손발톱 : 손발톱주위섬유종(Koenen 종양)

② 피부 이외의 증상

• 뇌 : 겉질결절, 백질병변, 뇌실막밑결절 → 간질(West 증후군 등), 정신발달지체

• 눈 : 망막과오종

• 심장 : 심장가로무늬근종 → 부정맥

• 콩팥 : 다발성 콩팥혈관근지방종, 콩팥낭포, 콩팥세포암

③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

결절성 경화증의 모든 증상은 그림 17-1과 같이 나타나는 시기가 다르다.

그림 17-1 : 결절성 경화증의 증상 및 출현 시기

모든 증상 중 나뭇잎 모양의 흰색 반점은 유아기부터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간과하지 말고 뇌파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절성 경화증은 신체의 모든 부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환되는 각 기관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결절성 경화증은 다음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며, 모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① 뇌전증

80%의 환자에게서 발작이 나타납니다. 조절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② 지능 저하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경중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③ 행동 장애

지나치게 활동적이고, 수면 장애가 있습니다. 자폐 증세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④ 피부 증상

초기 증상으로 출생 시부터 몸통과 사지에 흰색의 피부 반점이 발생합니다. 1~5세쯤에는 90% 정도의 환자에게서 코 주위와 뺨에 대칭적인 혈관 섬유종이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빨간 발진이 발생하며, 이후에는 여드름 같은 뾰루지로 변합니다.

⑤ 뇌

- 발작 : 환자의 80% 정도에서 발생합니다. 주로 어른보다 신생아, 소아에게서 나타납니다. 발작을 보이는 환자의 80%가 전신적인 발작을, 20% 정도가 부분적인 발작을 보입니다. 이외의 환자에게는 복합적인 발작이 나타납니다.

- 신생아 경련 : 25% 이상의 환자에서 뇌파 검사상 점두 경련의 뇌파(hypsarrhythmia)가 확인됩니다.

⑥ 정신지체

주로 어린 시기에 발작을 경험한 환자들이 정신지체를 겪습니다. 45% 이하의 환자는 정상적인 지능을 갖습니다.

⑦ 피질성 결절(대뇌의 과오 조직)

드물게 경련성 마비, 반맹, 불수의적인 행동, 운동실조, 안근 마비 등이 나타납니다. 이밖에도 뇌실 막막 결절, 뇌실내 종양, 거대세포 성상세포종, 뇌 수두증 등이 발생합니다.

⑧ 피부

환자의 80%는 피부에 저멜라닌성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을 겪습니다. 신생아기부터 모든 연령에게서 몸통과 사지에 탈색된 반점들이 나타납니다.

⑨ 안면 혈관 섬유종(피지 선종)

이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이며, 50% 정도의 환자에게서 나타납니다. 1~5세, 사춘기의 환자에게 발생합니다.

⑩ 손발톱 주위의 섬유종, 손발톱 밑의 섬유종

이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이며, 20% 정도의 환자에게서 나타납니다. 15~60세의 환자에게 발생합니다.

⑪ 샤그린 반점(가죽반)

20% 정도의 환자에게서 나타납니다. 몸통 부위에 오렌지 껍질 모양의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⑫ 섬유성 플라그(일종의 반점)

영유아기에 이마, 눈썹, 볼, 두피 등에 섬유성으로 털이 없는 둥근 반점이 돋아나는 증상입니다.

⑬ 신낭종

주로 소아에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무증상이지만, 말기에는 심각한 고혈압의 원인이 됩니다.

⑭ 혈관근지방종(과오종)

보통 성인에게 나타납니다. 증상은 경미하지만, 드물게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진단/검사

머리 MRI 상에 백질병변이나 겉질결절 등의 뇌내 병변이 나타난다.

머리 CT 상에 측뇌실벽에 많이 발생하는 석회화 등의 소견이 보인다.

치료

각각의 증상에 대한 대증치료를 실시한다.

결절성 경화증의 증상은 중증도가 매우 다양합니다. 경증 환자는 삶의 질, 기능에 어떠한 손상 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중증의 환자는 여러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습니다. 아직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지만,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적절히 시행한다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문제

A 9-year-old boy is brought to his pediatrician because of worsening performance in school and facial lesions that look like acne. Past medical history is significant for developmental delays and infantile spasms. The boy is not currently taking any medications. On physical examination, there are papulonodular facial lesions (see image), pitting of dental enamel, and multiple hypomelanotic oval macules over the torso. Which of the following genes is most likely impaired in this patient?

  • A. VHL
  • B. TSC1
  • C. NF1
  • D. NF2
  • E. GNAQ

Image: By Fred et al. License: CC BY-SA 3.0, cropped by Lecturio.

Explanation:
Correct answer B: This patient has clinical features consistent with 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 an inherited autosomal dominant neurocutaneous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multiple hamartomatous lesions that may affect the brain, heart, lungs, liver, kidneys, eyes, and skin. The expression of the disease varies substantially and results from mutations in the TSC1 or TSC2 genes.
The principal clinical features of TSC are a history of epilepsy or seizures early in childhood (particularly infantile spasms), cognitive deficits, and facial angiofibromas (resembling acne), with additional manifestations dependent on the locations of the hamartomatous lesions.
Option A: Mutations in the VHL gene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Von-Hippel-Lindau (VHL) syndrome, manifesting in childhood or adulthood with a spectrum of associated tumors. These include hemangioblastomas of the brain and spine, retinal angiomas, pheochromocytomas, renal cell carcinomas, endolymphatic sac tumors in the middle ear, and multiple visceral cysts. The benign cysts and tumors are prone to malignant transformation.
Option C: Type 1 neurofibromatosis (NF-1) i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that results from germline mutations in the NF1 gene, which usually encodes for the protein neurofibromin involved in the RAS signaling pathway. Patients with NF-1 have a higher risk for the development of nervous system tumors. The principal clinical features of NF-1 are café-au-lait macules and neurofibromas.
Option D: Mutations in the NF2 gene, which encodes for the protein schwannomin, result in neurofibromatosis type 2 (NF-2). NF-2 is an autosomal dominant genetic disorder characterized by a predisposition for multiple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especially bilateral vestibular schwannomas, intracranial and spinal meningiomas, and spinal ependymomas. Cutaneous manifestations, including plaque-like lesions and subcutaneous nodules, usually occur along the course of a peripheral nerve.
Option E: Sturge-Weber syndrome is a rare non-inherited congenital vascular disorder that results from somatic mosaic mutations in the GNAQ gene. It is characterized by port wine stain (a facial capillary formation), capillary-venous malformations, glaucoma, and seizures, typically beginning as focal and progressing to generalized.
Learning objective: 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 is a rare multisystem genetic disorder caused by mutations in the TSC gene and characterized by hamartomatous lesions in multiple organ systems.
Related Videos:
  • Development Regression, Neurocutaneous Disorders and Tuberous Sclerosis05:12 min
  • 0% Complete
Book References: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2, 32nd ed): 543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1, 31st ed): 543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0, 30th ed): 525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9, 29th ed): 513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8, 28th ed): 509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7, 27th ed): 495

 

참고자료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