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10. 21:27ㆍ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유익한 겅강을 알려드릴 세모정입니다!

오늘은 ' 항정신병약[ Antipsychotics ] / 지프라시돈[ ziprasidone ] '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하겠습니다!
항정신병약
[ Antipsychotics ]

정의
정신병이란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및 언어, 현실감 상실을 나타내는 기이하고 부적절한 운동 행동과 같은 증상을 가리킵니다. 다수의 정신 장애가 정신병 증상을 야기합니다(조현병 및 관련 장애 소개 또한 참조).
항정신병약은 정신병 증상을 완화하거나 제거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환각, 망상, 분열적 사고, 공격성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항정신병약이 조현병에 가장 일반적으로 처방되고는 있으나, 조현병, 조증, 치매, 또는 암페타민과 같은 물질 사용으로 인한 결과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이들 증상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각적인 증상이 사라진 후, 정신병의 원인에 따라 향후 발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항정신병약을 계속하여 복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작용방법
항정신병약은 개별 뇌세포 사이에서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에 영향을 줌으로써 작용합니다.
성인의 뇌는 뉴런이라 불리는 100억 개 이상의 신경 세포로 구성됩니다. 뇌의 각 뉴런에는 축색 돌기라 부르는 길이가 긴 섬유가 하나 있는데, 이는 다른 뉴런에 정보를 전달합니다. 광대한 전화 배전반에 연결된 전선과 같이, 각 뉴런은 수천 개의 다른 뉴런과 접촉합니다.
정보는 전기 자극처럼 세포의 축색 돌기로 이동합니다. 자극이 축색 돌기 말단에 닿으면, 신경전달물질이라 하는 소량의 화학 물질이 분비되어 정보를 해당 계통의 다음 세포로 전달합니다. 전달받은 세포의 수용기는 신경전달물질을 포착하고, 이는 전달받은 세포가 새로운 자극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정신병 증상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에 민감한 세포의 과잉 활동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항정신병약은 수용기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용하여, 세포군 간의 통신이 감소하도록 합니다.
서로 상이한 항정신병약이 다른 유형의 신경전달물질을 얼마나 잘 차단하는지는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알려진 효과적 항정신병약 모두는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합니다. 신종 항정신병약(아세나핀, 클로자핀, 일로페리돈, 루라시돈, 올란자핀, 퀘티아핀, 리스페리돈, 지프라시돈)도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에 대한 수용체를 차단합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이 약물들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이러한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여러 다른 수용체를 차단하는 클로자핀은 정신병적 증상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약물인 것이 명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심각한 부작용이 있고 혈액 검사를 통해 관찰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종류
항정신병약은 다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 1세대(기존의, 더 오래된) 항정신병약
- 2세대 (새로운) 항정신병약
현재 미국에서 처방된 항정신병약의 약 95%는 2세대 항정신병약입니다. 의사는 2세대 항정신병약이 다소 더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했으나, 최근 증거는 이에 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들 약물은 1세대 약물의 보다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낮을 수 있습니다.
2세대 항정신병약은 양성 증상(환각 등), 음성 증상(감정 부족 등), 인지 손상(정신 기능 및 주의집중 기간 감소 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약물로 기존 항정신병약보다 증상이 더 크게 완화될지 여부나, 단지 부작용이 더 적어서 사람들이 이 약을 복용할 가능성이 높은지는 의사들도 알 수 없습니다.
첫 2세대 항정신병약인 클로자핀은 다른 항정신병약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은 사람 중 최대 절반에게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클로자핀은 발작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골수 활동(백혈구 생성 포함) 억제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다른 항정신병약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만 사용합니다. 미국에서 클로자핀 복용자는 백혈구 세포 수 감소의 첫 징후가 나타나면 클로자핀을 중단할 수 있도록 최소 첫 6개월 간 주 단위로 백혈구 수를 측정해야 합니다.
일부 기존 및 2세대 항정신병약은 지속성 주사용 제제로 투여가 가능하며, 이 경우 1~2개월마다 한 번만 투여하면 됩니다. 이 제제는 매일 경구 약물을 복용할 수 없는 환자 등 많은 경우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조치를 동반한 항정신병제에 대해 현재 연구 중이며, 이용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부작용
항정신병약에는 다음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있습니다.
- 졸음
- 근육 긴장
- 떨림
- 체중 증가
- 안절부절
일부 새로 개발된 2세대 항정신병약은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이 약물의 경우, 지발성 운동장애, 근육 경직과 떨림의 위험이 기존 항정신병약에 비해 크게 낮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의 일부는 복용 시 체중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는 대사 증후군 위험도 증가합니다. 이 증후군의 경우, 지방이 복부에 축적되고, 트리글리세라이드(지방) 혈액 수치가 증가하며,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일명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아지고, 혈압이 높아집니다. 또한, 인슐린의 효과가 떨어져(인슐린 저항이라 함) 2형 당뇨병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지발성 운동장애는 만성 항정신병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과잉 불수의 운동 장애입니다. 2세대 약물보다 1세대 약물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발성 운동장애는 입술과 혀를 오므리거나 팔 또는 다리를 비트는 것이 특징입니다. 지발성 운동장애는 약물 중단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발성 운동장애가 지속되면 클로자핀과 퀘티아핀과 같은 약물로 증상을 약간 완화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발베나진이라는 약물이 지발성 운동장애 증상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항정신병약을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환자는 6개월마다 지발성 운동장애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악성 신경이완 증후군은 드물기는 하지만 항정신병약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치명적인 부작용입니다. 이는 근경직, 발열, 고혈압, 정신 기능 변화(혼동 또는 무기력 등)가 특징입니다.
긴 QT 증후군은 두 계열 모두에 해당하는 여러 항정신병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심장 박동 장애입니다. 이러한 약물에는 티오리다진, 할로페리돌, 올란자핀, 리스페리돈, 지프라시돈이 포함됩니다.
지프라시돈
[ ziprasidone ]

정의
지프라시돈(Ziprasidone)은 정신 분열증과 양극성 장애 등을 치료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조현병 치료제로 알려져있다. 경구 복용과 근육(IM) 주사용이 있다.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지만 다른 조현병 치료제에 비해 위험성히 현저히 낮다고 알려져있다.
작용에대해서는 뇌의 세로토닌과 도파민에 연관되는것으로 여겨진다.
지프라시돈은 2001년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 알약은 지프라시돈 하이드로클로라이드(ziprasidone hydrochloride)로 구성된다.
- 이 약은 "비정형 항정신병제"라는 계열의 약물입니다.
- 식약처 허가사항으로서 적응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 약은 조현병, 정신병적 양상이 수반되는 혹은 수반되지 않은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급성 조증 혹은 혼재 삽화(episode)에 사용되는 약입니다.
약의 안정성조치
[FDA] 항정신병약의 임신중 사용과 신생아에서의 비정상적 근육움직임과 금단증상의 위험성에 대한 업데이트된 약품 정보(2011-02-22)
- 미FDA는 항정신병 약의 모든 종류에 대하여 약품 라벨정보의 임신 항목에 대하여 업데이트한 것을 알리고 있습니다. 새로운 약품 라벨은 임부가 임신 제 3시에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되었고 이들로부터 태어난 신생아에서 비정상적 근육 움직임과 금단증상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하여 더 많고 일치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료인들은 임신중 사용되는 약물에 의해 신생아에게 미칠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하며 환자들은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인과의 상담없이 임신중에 약물을 복용하는 것을 중단하면 안됩니다.
- 미 FDA, 항정신병약에 대하여, "해당 의약품을 복용한 임부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의 부작용 위험 증가" 관련 주의 사항을 제품 라벨에 추가
- 최근 미 FDA에서는 20여개 항정신병약(정신질환 치료제)에 대하여, "임신3기에 해당 의약품을 복용한 임부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의 부작용 위험 증가" 관련 주의 사항을 제품 라벨에 추가하고, 의료전문가 및 환자를 위한 정보를 발표하였습니다.
- 이는 미 FDA가 최근까지 부작용 보고 사이트(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AERS)를 통해 보고된 항정신병 의약품 관련 부작용 분석평가 결과, 69건의 신생아 추체외로 증상 및 금단증상(초조, 근육긴장항진, 근육긴장저하, 떨림, 졸림, 호흡장애, 섭식장애 등)이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의 사례에 있어서는 금단증상과 관련있는 약물의 병용투여(항 우울제, 수면제, 마약류), 조산, 선천성 기형, 산과적 및 주산기 합병증 등 다른 요인이 함께 있었으나, 신생아 추체외로 증상 및 금단증상이 항정신병 의약품 사용만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사례들을 확인한 것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환자를 위한 추가 정보
01.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 임신하거나 임신할 의향이 있을 경우 의사에 알릴 것.
02. 임신을 하였을 경우 의약품을 의사와 상의 없이 중단하지 말 것. 급작스러운 약의 중단으로 인해 치료에 있어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될 수 있음.
03. 임신 중 진행되는 처방치료에 있어 우려사항이 있을 경우 의사와 상의할 것.
복용시 주의할점
- 약을 꾸준히 복용하시고, 자의적으로 중단하지 마세요.
- 이 약 복용 중에는 술을 금해야 합니다.
- 부작용에 대한 대처법
▶ 이 약은 판단, 생각, 운동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이 약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기 전까지는 운전하거나, 위험한 기계를 작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이 약 복용시 과열 및 탈수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약에 의해 체온을 낮추기 힘들 수 있습니다.
문제
A 34-year-old woman presents with recurrent panic attacks that have been worsening over the past 5 weeks. She says she has also been seeing things that are not present in reality and is significantly bothered by a short attention span which has negatively affected her job over the past 6 months. She has no significant past medical history and no current medications. The patient is afebrile and vital signs are within normal limits. Her BMI is 34 kg/m2. Physical examination is unremarkable. The patient is prescribed an antipsychotic medication. She expresses concerns about any effects of the new medication on her weight. Which of the following medications would be the best course of treatment in this patient given her concerns?
|
Explanation:
Correct answer A: Ziprasidone is a newer antipsychotic drug that has minimal tendency to cause metabolic and endocrine-related side effects. It i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have concerns about their weight. Ziprasidone is a dopamine (D2) and serotonin (5-HT2) receptor antagonist and acts as a serotonin and 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as well. Aripiprazole also tends to cause minimal metabolic and endocrine effects. Important atypical antipsychotics that cause significant weight gain include olanzapine and clozapine. Option B: Olanzapine has a very high relative risk of weight gain and may be associated with the most metabolic effects among all the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Option C: Clozapine has a very high relative risk of weight gain. It is part of the atypical antipsychotic family and mainly acts as a serotonergic (5-HT2) receptor antagonist. Most atypical antipsychotics act as serotonergic receptor antagonists. Important exceptions include risperidone and paliperidone (which act more like D2 receptor antagonists). Option D: Clonazepam is a long-acting benzodiazepine that has antiepileptic properties. It is effective for absence seizures and can also be used in the treatment of the bipolar disorder. Option E: Chlorpromazine is a typical antipsychotic. Typical antipsychotics mainly act as dopaminergic (D2) receptor antagonists and thus can cause extrapyramidal effects, tardive dyskinesia, and hyperprolactinemia. Also, its antimuscarinic effects can lead to typical anticholinergic effects. Like other typical antipsychotics, it is associated with many side effects. Learning objective: Ziprasidone is an atypical antipsychotic that has minimal tendency to cause metabolic and endocrine-related side effects (e.g., weight gain). |
Related Videos:
|
Book References: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2, 32nd ed): 597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1, 31st ed): 597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0, 30th ed): 573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9, 29th ed): 561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8, 28th ed): 557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7, 27th ed): 543 |

참고자료
www.msdmanuals.com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