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부작용및 오피오이드 효능

2022. 5. 24. 13:09정보

728x90
300x250

오늘은 ' 오피오이드 [Opioid]  '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하겠습니다.


오피오이드

[Opioid]








정의

마약성 진통제는 아편에서 유래하거나 합성된 성분으로,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약물이다. 중추신경계의 아편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으로 통증의 전달을 억제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중등도 이상의 급성 또는 만성 통증의 완화 및 치료에 사용된다. 약물 남용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전문가의 지도하에 사용되어야 한다.



합성 진통·마취제로, 일반 진통제보다 훨씬 강력한 진통효과가 있으며 흔히 알고 있는 아편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 옥시코돈, 트라마돌, 하이드로코돈 등의 상표명으로 유통되며 의사 처방전이 있으면 구입 가능하다. 주로 수술 후 통증, 암으로 인한 통증, 관절염에 따른 만성 통증 등에 사용되는데 중독성이 매우 강하다. 남용할 경우 호흡곤란, 쇼크, 체온 저하 등의 부작용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오피오이드 과다복용으로 2016년에만 6만 4000명이 사망했으며, 2017년 10월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오피오이드 남용에 대해 낙후 지역 원격 진료 지원, 사태 해결 위해 관련 부처에 예산 배정 등이 가능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기도 했다.



약리작용

마약성 진통제는 양귀비의 덜 익은 꼬투리에서 유액을 말려 채취한 아편과 이에 관련된 화합물이다.

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아편에서 유래하거나 합성된 진통제를 아편유사제(오피오이드, opioid)라고 하며, 양귀비에서 추출한 천연 알칼로이드, 천연 알칼로이드에서 유도한 반합성 알칼로이드, 그리고 처음부터 화학약품에서 합성한 성분 모두를 일컫는다. 중추신경계의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작용하며 통증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아편유사제 수용체는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중추를 억제하여 체온을 하강시키며, 호흡 및 기침 억제 작용이 있으므로 호흡마비의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약리작용은 아편유사제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효능제(opioid agonist), 효능-길항제(agonist-antagonist) 등으로 나눈다. 마약성 진통제는 지속해서 사용하면 내성*, 탐닉성†과 신체적 의존성이 생기므로 반드시 의료전문가의 지도하에 사용되어야 한다.



효능. 효과

마약성 진통제는 비교적 심한 급성 또는 만성 통증의 완화(말기 암환자, 심근경색, 급성 폐부종, 분만 시 등) 및 수술 전 진정을 위한 전신마취의 보조, 심한 기침 발작의 진정 등에 사용된다. 제형(주사제, 정제), 염의 종류(염산염, 황산염), 함량에 따라 효능·효과에 차이가 있다. 마약성 진통제는 대부분 마약류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로 관리하고 있으며, 남용의 우려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비마약성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에 한해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다.

용법

제형(주사제, 정제, 경피흡수제 등)에 따라 용법이 다르다. 투여경로와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증상, 통증 정도, 반응 및 내성에 따라 다르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경로는 경구투여의 경우가 많으며, 주사제는 피하, 근육, 정맥, 경막외 또는 수막강내 등에 주사한다. 근육주사는 흡수율이 일정치 않으므로 정밀한 수술 후 통증관리를 위해서는 정맥투여가 사용된다. 그 외에도 패취제(피부 접착형 진통제)는 통증 조절이 안정화된 환자에게 사용하며, 가슴 상부나 팔의 편평한 부위 중 자극이나 광선조사를 받지 않는 피부에 부착한다. 진통 효과의 상승을 위해 두 가지 이상의 마약성 진통제를 병용하는 요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본문에 언급된 내용 외의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종류



마약성 진통제는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결합하는 강도에 따라 나뉜다.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하는 모르핀, 펜타닐 등의 강한 마약성 진통제는 용량에 비례해 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약한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마약성 진통제는 트라마돌과 코데인이다. 마약성 진통제를 원료에 따라 구분할 경우, 아편알카로이드인 모르핀, 코데인 등과 그들과 유사한 구조의 합성마약제인 트라마돌, 옥시코돈, 펜타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트라마돌은 다른 마약성 진통제와 마찬가지로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마약성 진통제에 비해 의존성과 부작용이 낮은 편이어서 국내에서는 마약류로 분류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마약성 진통제의 중독성억제와 부작용인 변비 억제를 위하여 아편제 길항제인 날록손과 복합한 제제도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와의 복합제로 진통 효과는 유지하되 마약성 진통제의 용량을 낮춰 의존성을 감소시킨 제제도 있다.








부작용

• 마약성 진통제는 부작용 발생이 매우 흔하므로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부작용이 지속되면 기저원인을 확인 후에 용량 감량이나 추가적인 약제 투여, 마약성 진통제를 다른 약제로 전환을 고려할 수 있다.



• 마약성 진통제의 변비, 오심·구토, 진정 및 졸음은 과반수 이상의 환자가 경험할 정도의 흔한 부작용이다. 특히 변비는 대부분의 마약성 진통제에 나타나므로 변비약을 병용하여 복용한다.



• 사용자의 1~10%에서 보고되는 일반적 부작용은 정신신경계에서의 혼란, 불면, 두통, 졸림, 어지러움 등이며, 위장관에서의 복통, 식욕부진, 입안건조, 구토 등이 있다. 피부계에서는 다한증, 발진, 투여부위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사용자의 1% 미만에서 보고되는 드문 부작용으로는 알레르기 반응, 불안, 이상행복감, 환각, 경련, 과도긴장증, 간대성근경련*, 이상감각, 기절, 심계항진, 홍조, 저혈압, 기관지경련, 폐수종, 호흡억제, 장폐색, 소변정체, 두드러기, 투여 부위 부종 등이 있다.



• 마약성 진통제에 의한 호흡억제, 부정맥, 혈압변화를 포함하는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이 나타날 시 날록손, 날트렉손 등의 아편유사제 길항제를 투여한다.



• 시력조절장애, 안면홍조, 식욕부진, 졸음, 현훈, 불안, 착란, 의식장애, 섬망, 흥분 등의 부작용은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부작용이다. 약을 증량하지 않고 계속 투여하면 보통 5~10일 정도로 좋아지며, 심한 경우에는 약을 감량한다.



그 외에 부작용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문제

A 24-year-old man is brought to the emergency department by ambulance for an acute mental status change. His parents arrive and state that they found him unresponsive on the floor in his room, and that there was an empty bottle of oxycodone laying on his bed.  On physical examination, he is not responsive to any stimuli. Miosis is present bilaterally. Respiratory rate is 8/min and shallow, blood pressure is 60/40 mm Hg, and pulse is 45/min. The man was treated emergently with a certain medication. What type of medication was it?

A. μ, κ, and ẟ receptor antagonist

B. μ receptor agonist

C. к receptor agonist and μ receptor antagonist

D. μ, к, and ẟ receptor agonist

E. μ receptor partial agonist and к receptor agonist





Explanation:

Correct Answer A:  μ, κ, and δ receptor antagonist.  This was an opioid overdose, and the first-line emergency treatment for it is with the medication naloxone (Narcan), an opioid receptor antagonist. Opioid medications and drugs are opioid receptor μ, κ, and δ agonists. Naloxone blocks the activity of opioid receptors μ, κ, and δ within minutes, rapidly reversing the effects of the ingested opioid.  

Medications that block receptor activity are antagonists. Medications that stimulate receptor activity are agonists.

A person has overdosed on opioids if after ingestion all three of the following occur:  hypoventilation (significant reduction in respiratory rate), miosis (pinpoint pupils), and unresponsiveness.

There are three types of opioids: naturally occurring (morphine, codeine, papaverine, and thebaine), semi-synthetic (heroin, hydromorphone, oxymorphone, and oxycodone), and synthetic ( buprenorphine, fentanyl, methadone, meperidine, and tramadol).  

Clinical effects of opioid ingestion:

System

Side effects

Cardiovascular

Hypotension

Bradycardia

Vasodilation

Central nervous system

Analgesia

Euphoria

Decreased respiratory drive

Sedation

Miosis*

Gastrointestinal

Constipation*/decreased gastric motility

Nausea

Vomiting/increased esophageal reflex

Genitourinary

Urinary retention

Decreased uterine tone

Skin

Pruritus

Flushing

*Tolerance does not develop for miosis and constipation



Options B, C, and D: None of these choices are correct, because naloxone is not an opioid receptor agonist. Naloxone works by antagonizing, or blocking, all three opioid receptors.

Learning objective: Acute opioid overdose clinically manifests as miosis, hypoventilation, and unresponsiveness. Opioid medications and drugs are opioid receptor agonists because they stimulate the μ, κ, and ẟ opioid receptors. The emergency treatment of an opioid overdose is by blocking those receptors' activities with naloxone.

Related Videos:

Alcohol and Substance Use Disorders10:23 min

0% Complete

Book References: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1, 31st ed):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20, 30th ed): 551, 570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9, 29th ed): 538, 558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8, 28th ed): 534, 554, 243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7, 27th ed): 520, 540, 239





참고자료

728x90
300x250